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근로소득세 계산 방법

by 소소정보원 2023. 9. 7.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근로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근로소득세는 근로자가 부담하는 세금으로 근로계약을 하고 일을 하는 근로자들은 모두 부과 대상이 됩니다. 

 

 

 

근로소득세란 소득세의 한 종류로써 급여에 따른 세금을 의미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방법

 

근로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근로소득세는 급여액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근로소득은 과세 소득 기준으로 근로소득간이세액표 구간에 따라 근로소득 세액을 납부합니다.

 

 

▼ 2023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다운받기

2023 근로소득간이세액표.hwp
0.16MB

 

 

다운로드받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토대로 예를 들어보면,

 

 

▶ 본인의 월급여액이 300만원이고 배우자 + 자녀 1명이 있다면?

본인 포함 공제 대상 가족의 수는 총 3명으로 근로소득세는 31,940원입니다.

 

 본인의 월급여액이 300만원이고 미혼이라면?

공제 대상 가족의 수는 본인 1명으로 근로소득세는 74,350원입니다.

 

 본인의 월급여액이 300만원이고 배우자만 있다면?

본인 포함 공제 대상 가족의 수는 2명으로 근로소득세는 56,850원입니다.

 

 

※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1. 공제 대상 가족의 수를 산정할 때 본인 및 배우자도 각각 1명으로 보아 계산해야 합니다.

 

2. 자녀 세액공제 적용 방법

자녀 세액 공제 적용 시 공제 대상 가족의 수

= 실제 공제 대상 가족의 수 +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의 수

 

< 적용 사례 >

1) 공제 대상 가족의 수가 3명(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1명)인 경우에는 “4명”의 세액을 적용함

 

2) 공제 대상 가족의 수가 4명(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2명)인 경우에는 “6명”의 세액을 적용함

 

3) 공제 대상 가족의 수가 5명(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3명)인 경우에는 “8명”의 세액을 적용함

 

 

즉, 근로소득세는 월 급여가 많을수록 가족 수가 적을수록 과세가 더 부과된다는 의미입니다.